본문 바로가기

특징주

10/18 특징주

반응형

1. 개요

 

 

 

 

 

KOSPI 3,006.68(-0.28%) 기관 순매도(-), 中 GDP 부진(-), 환율 상승(-), 외국인/개인 순매수(+)

KOSDAQ 993.86(+0.34%) 개인 순매수(+),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소매판매 지표 및 기업 실적 호조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3,017.48(+2.42P, +0.08%)로 강보합출발. 이내 하락 전환한 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키워 2,990.44(-24.62P, -0.82%)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낙폭을 만회했고, 오후 들어 반등에 성공하며 3,021.17(+6.11P, +0.2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장중 재차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3,010선을 중심으로 소폭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3,006.68(-8.38P, -0.28%)로 장을 마감.

美 소매판매 및 기업 실적 호조, 인프라 법안 통과 가능성등 미국發 호재에도 中 GDP 부진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감이 커지면서 코스피지수는 나흘 만에 하락. 아울러 원/달러 환율이 달러 강세 및 中 GDP 부진 속 나흘만에 상승한 점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기관은 나흘만에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개인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낙폭은 제한된 모습.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3분기 GDP가 전년동기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로, 전분기 GDP 상승률인 7.9%보다 크게 줄어들었음. 시장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인 에너지 공급난과 함께 중국 내 헝다그룹發 부동산 시장 위기가 경제 성장을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중국의 9월 산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반면, 9월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대비 4.4% 증가해 시장 예상치 상회.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050명(국내 발생 1,030명, 해외 유입 20명)으로 집계됐음. 이는 4차 대유행이 본격화된 지난 7월6일 이후 최저치임.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는 인구 대비 78.7%를 기록, 2차 접종 완료자는 64.6%를 기록. 한편, 정부는 이달 말까지 전 국민 70%에 대한 백신 접종을 마치고,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체계 전환에 착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짐.

중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4,800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168억, 349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도 기관이 1,736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368계약, 93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2원 상승한 1,187.6원을 기록.

2. 테마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넷플릭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및 디즈니+ 韓상륙 기대감 지속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비철가격 급등 속 비철금속 테마 상승.

▷페이스북, 유럽서 메타버스 일자리 1만개 창출 계획 소식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美 SEC,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 기대감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일부 두나무 관련주 상승.

▷영국, 원자력 발전 확대 대책 발표 예정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상승.

▷2차전지 소재 국산화 기대 분석 속 2차전지 테마 상승.

▷통일부, 남북철도·도로 현대화 구상 구체화 계획 발표 소식 속 일부 철도 테마 상승.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를 3일 앞둔 가운데,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네이버 인공지능(AI) 전문회사 설립 추진 소식 속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이 외에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리비안(RIVIAN) 관련주, 반도체 재료/부품, 카지노, 은행, 전기차, 증권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발틱 건화물 운임지수(BDI) 하락 속 해운 테마 약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050명, 7월 6일 이후 최저 소식 속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렘데시비르, 모더나, 스푸트니크V), mRNA(메신저 리보핵산)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저비용항공사(LCC) 실적우려 지속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하락.

▷이 외에 도시가스, 시멘트/레미콘, 철강 주요종목, 건설 대표주, 바이오시밀러, 조선, 풍력에너지, 면세점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영상콘텐츠 넷플릭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및 디즈니+ 韓상륙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최근 국내 OTT 콘텐츠 '오징어 게임'이 전세계에서 흥행을 이어간 가운데, 스튜디오산타클로스가 제작한'마이네임'이 15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후 전세계 주요국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면서 흥행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글로벌 OTT콘텐트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에 따르면, '마이네임'은 지난 17일 전 세계 넷플릭스 TV쇼 부문 4위에 올랐으며, 한국에서 1위, 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베트남에서 2위를 차지했음. 또한, 넷플릭스 구독자가 가장 많은 미국에서는 6위에오른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오는 11월 글로벌 OTT 디즈니플러스가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디즈니플러스가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를 강화하는 방침을 내비침에 따라 제작 파트너사들의 흥행 기회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금일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케이티알파, NEW, 에이스토리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케이티알파는 디즈니플러스와 콘텐츠 제휴를 통해 '블랙핑크 더 무비'를 독점 공급키로 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비철금속 비철가격 급등 속 상승
▷키움증권은 지난주 비철 가격이 전력난에 Nyrstar 등 유럽 제련사들이 감산을 발표하자 공급 부족 우려가 높아지면서 일제히 상승했다고 밝힘. Nyrstar, Glencore 등 메이저 업체의 감산 발표로 아연이 20% 이상 폭등하며 14년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구리도 $10,000대를 회복하면서 5월 역사적 고점 수준에 근접했다고 밝힘. 아울러, 美 Alcoa는 알루미늄 가격 상승으로 3분기 조정 EPS가 $2.05를 기록해 컨센서스를 상회했고 알루미늄 가격 초강세가 장기화될 것이란 CEO의 전망에 지난 15일 15% 넘는 급등세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러한 소식에 대창, 이구산업, 풍산, 남선알미늄 등 비철금속 테마가 상승.
메타버스(Metaverse) 페이스북, 유럽서 메타버스 일자리 1만개 창출 계획 소식 등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17일 외신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메타버스 구축과 관련해 앞으로 5년 동안 유럽에서 약 1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페이스북의 글로벌 업무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사장인 닉 클레그는 " 유럽은 페이스북에게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며 "페이스북이 유럽 기업과 함께 더불어 성장할 기회를 찾고 있다"고 밝힘. 이어 "메타버스 시대를 맞아 고도로 전문화된 개발자의 필요성이 페이스북의 가장 시급한 우선순위 중 하나로 유럽연합 전역의 정부와 협력해 새로운 인재 발굴과 채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임.

▷이 같은 소식에 덱스터, 선익시스템, 자이언트스텝, 엔피, 알체라 등 메타버스(Metaverse)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美 SEC,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 기대감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자산 운용사 프로셰어가 신청한 비트코인 선물 ETF를 美 SEC가 승인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프로셰어가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상품의 출시일은 현지시간 18일인 것으로 알려짐. 해당 ETF는 현물이 아닌 선물을 대상으로 하고있지만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제도권으로 편입되는 사건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현물 ETF 출시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한편, 이날 오후 3시40분 경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전일대비 1% 가량 상승해 7,680만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러한 소식에 티사이언티픽, 다날, 우리기술투자, 비덴트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영국, 원자력 발전 확대 대책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
▷최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원전에 10억 유로(약 1조3,8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현지시간으로 17일 외신에 따르면, 영국 정부도 원전 비율을 높여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대책을 담은 ‘넷 제로(net zero)’ 전략 보고서를 이르면 이번 주 초에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넷 제로’란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든다는 의미로 존슨 영국 총리는 원전확대 등 ‘넷 제로’ 보고서의 핵심 내용을 직접 밝힐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해당 보고서에는 항공기 엔진 제작 업체인 롤스로이스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 중인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개발 사업에 투자를 늘리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보성파워텍, 한전산업, 한전KPS, 한전기술, 우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2차전지 2차전지 소재 국산화 기대 분석 속 상승
▷IBK투자증권은 2차전지 업종에 대해 배터리 시장의 우상향 성장성이 견고한 가운데, 국내 배터리 산업 내에서 유일하게 부족한 점이 원자재와 소재단의 역내 밸류체인 미확보라며 소재 국산화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된다고 밝힘.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높은 글로벌 시장점유율(20년 26%)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소재 점유율은 4대 핵심소재 평균 14%(20년)에 불과하며, 벤더 다변화, 고성능/고품질 한국산 소재 수요 증가, 미중 분쟁에 따른 소재단의 정치적 리스크 해소를 위해서는 소재 국산화가 필수적이라고 밝힘.

▷이러한 소식에 천보, SKC,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등 2차전지 테마가 상승.
해운 해운 운임지수 하락 속 약세
▷지난주 15일에 발표된 상하이 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대비 59.53포인트(-1.28%) 하락한 4,588.07 을 기록함. 이는 중국 내 전력난으로 공장들이 생산을 멈추면서 글로벌 물동량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15일 기준 발틱 건화물운임지수(BDI)는 전거래일대비 208.00(-4.11%) 하락한 4,854.00을 기록해 10월7일 이후 하락세 지속.

▷이러한 소식에 흥아해운, 팬오션, HMM 등 해운 테마가 약세를 기록.

3. 상승

 

종 목 상한가
일수
사유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04630)
4,315원
(↑29.97%)
1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NHN벅스
(104200)
7,070원
(↑29.96%)
1 싸이월드제트 로그인 트래픽 폭주 소식 속 싸이월드 BGM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 계약 체결 사실 부각에 상한가
KEC
(092220)
3,455원
(↑29.89%)
1 SiC 전력 반도체 개발 성공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한가
한국전자홀딩스
(006200)
1,845원
(+26.80%)
  자회사 KEC, SiC 전력 반도체 개발 성공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에스엘바이오닉스
(214310)
1,115원
(+24.58%)
  스튜디오산타클로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지속 속 동사가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대유에이텍
(002880)
2,190원
(+23.03%)
  리비안 상장 기대감 지속에 리비안(RIVIAN) 관련주 상승 속 급등
게임빌
(063080)
68,900원
(+19.83%)
  사명 변경을통한 지주사 역할 강조 소식 등에 급등
케이티알파
(036030)
10,250원
(+19.32%)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디즈니플러스와 콘텐츠 제휴 및 '블랙핑크 더 무비' 독점 공급 부각 등에 급등
유니테크노
(241690)
11,650원
(+16.50%)
  리비안상장 기대감 지속에 리비안(RIVIAN)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서울옥션
(063170)
22,100원
(+15.40%)
  3분기 NFT 거래액 사상 최고치 기록 속 두나무와 NFT 사업 추진 사실 재부각에 급등
티사이언티픽
(057680)
3,700원
(+13.15%)
  美 SEC,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 기대감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팬엔터테인먼트
(068050)
6,120원
(+12.29%)
  넷플릭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및 디즈니+ 韓상륙 기대감 지속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에프엔씨엔터
(173940)
9,910원
(+12.23%)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3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지속에 급등
NEW
(160550)
14,950원
(+11.99%)
  넷플릭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및 디즈니+ 韓상륙 기대감 지속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스토리
(241840)
45,800원
(+11.98%)
  넷플릭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및 디즈니+ 韓상륙 기대감 지속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칩스앤미디어
(094360)
14,900원
(+11.61%)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 대규모 M&A 추진 속 시장에서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국전약품
(307750)
17,100원
(+11.40%)
  6-아미디노-2-나프톨 메탄술폰산 및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의 제조 방법 관련 특허 취득 모멘텀 지속에 급등
알에프세미
(096610)
5,140원
(+10.78%)
  파운드리SiC 전력반도체 공급 시작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컴투스
(078340)
111,500원
(+10.40%)
  메타버스 콘텐츠 밸류체인 투자 평가액 8,000억원 소식 등에 급등
IHQ
(003560)
1,760원
(+10.00%)
  넷플릭스 '마이네임' 흥행 기대감 및 디즈니+ 韓상륙 기대감 지속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한일화학
(007770)
23,500원
(+9.30%)
  아연값 급등 수혜 전망 속 국내 산화아연 시장 60% 점유 부각에 급등

 

4. 하락

 

5. 코스피 특징주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금양
(001570)
5,440원
(+7.51%)
수소연료전지 핵심 촉매제 국산화 성공 소식 등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이전 기술과 자체 기술로 우수한 성능의 국산 촉매제를 합성해 전기 생산 기본단위인 MEA(막전극접합체) 제작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전해짐.이를 적용한 연료전지 스택 시제품도 이달 중 완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장석영 부회장은 “국내에서는 수소차가오래전 상용화돼 운행되고 있고 발전용 연료전지 용량이 이미 691MW에 도달한 상황으로 봤을 때 동사를 후발주자로 볼 수도 있지만, 수소경제가 본격적인 상승곡선을 그리는 시점을 2025년, 시장이 팽창되는 시점을 2030년으로 본다면 동사는 적기에 사업을 시작했다고 판단한다”고밝힘.
▷한편, 동사는 지난해 10월 자회사인 금양이노베이션을 설립해 수소연료전지 개발 사업에 진출한 바 있음.
코웨이
(021240)
84,300원
(+5.51%)
말레이시아 법인 실적 호조에 따른 전사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동기대비 11% 증가, 1% 감소한 8,770억원과 1,660억원 수준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특히, 말레이시아 법인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3%, 77% 증가하면서 전사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말레이시아 법인 불확실성 해소가능성으로 실적 추정치와 밸류에이션을 모두 상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Neutral → BUY[상향], 목표주가 : 80,000원 → 96,000원[상향]
NPC
(004250)
7,050원
(+4.44%)
中 CATL,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 6조 투입 소식 속 폐배터리 관련 사업 추진 사실 부각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닝더스다이(CATL)사는 약 6조원을 들여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설립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CATL은 후베이이화그룹(Hubei Yihua Chemical Industry)과 합작사를 설립해 중부 후베이성 이창시에 배터리 재활용 기지를 건설하며, 이곳에서는 코발트와 리튬 등 폐배터리 내 희귀금속을 추출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현대글로비스와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를 공동 출원하고 폐배터리 관련 사업을 추진중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SH에너지화학
(002360)
1,195원
(+4.37%)
中, 美 천연가스 수입 추진 소식 속 美 현지법인 천연가스 광권 보유 사실 부각에 상승
▷16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전력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천연가스(LNG)를 수입하는 협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전해짐. 시노펙과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 등 5개 이상의 중국 에너지 기업들이 셰니어에너지, 벤처글로벌 등 미국 천연가스 회사들과 수입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협상은 앞으로 수년간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천연가스 수입을 크게 늘리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미국 내 천연가스 개발사업에 참여하기 위하여 2008년 현지법인인 SH Energy USA, Inc.를 설립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부각. SH Energy USA, Inc.는 2019년 초부터 광권 리스 만료일(3년)이 도래하여 순차적으로 광권 갱신 작업을 진행하여 2019년말 총 2,004.58 net acres에 해당하는 광권의 갱신을 완료했으며, 이 밖에 188.17 net acres의 생산정(권리) 및 기타 광권 리스 등을 보유하고 있음.
엠씨넥스
(097520)
43,100원
(+3.98%)
433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수 결정에 상승
▷지난 15일 장 마감 후 433억원(자산총액대비 9.55%) 규모 유형자산(인천광역시 연수구 소재 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2-01-14) 공시. 양수목적은 자율주행 관련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본점 이전 및 사옥 취득임.
SBS
(034120)
58,200원
(+3.56%)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연결기준 3분기 매출액 2,813억원(전년동기대비 +27%), 영업이익 790억원(전년동기대비 +124%)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분석. 별도 부문에서는 TV광고의 가파른 회복과 견조한 온라인 유통 수익, 올림픽과 관련한 1회성 이익 등을 감안해 영업이익 668억원(전년동기대비 +36%)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올해는 올림픽, 내년에는 월드컵 등의 1회성 이익을 제외하더라도 제작비 효율화 및 TV 광고 회복으로 연결기준 분기 300~400억원 수준의 이익이 발생하고 있으며 꾸준히 상향될 가능성도 높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1,000원[유지]
현대오토에버
(307950)
116,000원
(+3.11%)
새만금 상용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 수주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동차융합기술원의 ‘상용차 고속 자율주행 종합 평가시설(관제 평가 통합 시스템 부문) 구축 용역’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힘. 동사 컨소시엄은 KT 컨소시엄, 롯데정보통신 컨소시엄을 제치고 이번 사업을 따낸 것으로 이 사업은 새만금 주행 시험장에 국내 최초로 상용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와 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고속자율주행 차량을 지원하는 미래 첨단 도로의 방향성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임.
고려아연
(010130)
607,000원
(+2.88%)
아연값 급등에 따른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금속 판매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금속 판매가격 상승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3분기 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각각 2.4조원(+20.2% YoY), 2,836억원(+6.1%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미 연준의 테이퍼링 우려와 중국 경기 지표 악화에 대한 우려로 8월말 3,000불/톤을 하회했던 LME 아연가격이 10월 중순 현재 3,795불/톤으로 14년래 최고치를 기록중이라며, 타이트한 수급으로 아연가격은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 이에 한동안 아연가격 급등에 따른 영업실적 개선이 예상되고, 내년말부터 가동이 예정된 전지박공장도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80,000원 → 680,000원[상향]
▷이에 금일 동사의 주가가 소폭 상승세를 보였으며, 국내 산화아연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는 국내 1위 업체 한일화학도 아연 값 강세 수혜가 전망되면서 급등세를 기록.
크래프톤
(259960)
486,000원
(+2.86%)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4,727억원(+28.9% YoY, +2.9% QoQ), 2,093억원(+24.9% YoY, +20.2% QoQ)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PC 매출액은 920억원(+50.4% YoY, +3.9% QoQ)으로 전분기 대비 증가가 예상되며 모바일 매출액은 3,643억원(+25.5% YoY, +2.9% QoQ)으로 배틀그라운드 글로벌 및 화평정영의 로열티가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늘어날 것으로 추정.
▷아울러 신작 뉴스테이트의 흥행으로 2022년 매출액은 3.1조원(+49.0% YoY), 영업이익은 1.5조원(+61.3% YoY)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80,000원[유지]
▷한편, 동사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이이마트 본사 및 성수점 토지, 건물매입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공시.
자이에스앤디
(317400)
9,260원
(+2.66%)
1,540.13억원 규모 주거복합사업 공사도급약정 체결에 소폭 상승
▷1,540.13억원 규모 대구광역시 대명동 주거복합사업 공사도급약정 체결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사업개요 및 공사금액은 변경될 수 있으며 향후 본계약 체결 시, 확정 내용을 공시할것이라고 밝힘.
CJ제일제당
(097950)
410,000원
(+2.50%)
본업 안정적 성장 속 화이트바이오 신성장 동력 본격 가동 분석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가공식품/그린바이오 부문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화이트바이오 등 신성장 동력 본격 가동이 기대된다고 밝힘. 국내식품 즉석밥/HMR 카테고리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저변 확대 및 광고/판촉비 효율화로 구조적 수익성이 개선되었으며, 해외 식품의 경우 미국/중국/일본, 만두/HMR/미초 등 핵심 카테고리의 매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화이트바이오 사업의 일환으로 100% 생분해 PHA 생산을진행 중이라며, 2022년 인도네시아에서 5,000톤 Capa 규모로 본격 가동이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10,000원[유지]

6. 코스닥 특징주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게임빌/컴투스 게임빌, 사명 변경을 통한 지주사 역할 강조 및 컴투스 메타버스 콘텐츠 밸류체인 투자 평가액 8,000억원 소식에 급등
▷지난 15일 장 마감 후 게임빌은 공시를 통해 11월30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사명을 '컴투스홀딩스'로 변경하는 안건을 논의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게임빌은 이번 사명 변경을 통해실질적인 사업 지주사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분명히 하고 컴투스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들과 시너지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며, 또한 계열사 브랜드 이미지를 통합하여 고객 지향적인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라고 밝힘.
▷아울러 컴투스는 언론을 통해 메타버스(3차원 소셜미디어)와 연계된 콘텐츠 밸류체인 관련 기업(위지윅스튜디오, 데브시스터즈, 정글스튜디오, 케이뱅크 등)에 올해에만 약 3,500억 원을 투자했으며, 현재 상장되어 있거나 장외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 주요 기업의 평가액은 7,200억 원을 넘어섰다고 밝힘. 이어 이들 기업의 실질 가치증가분을 제외한 투자 원금만을 반영하면 총 8,000억 원에 달하는 투자 평가를 기록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게임빌과 자회사인 컴투스 주가가 동반 급등세를 기록.
[종목] : 게임빌, 컴투스
감성코퍼레이션
(036620)
2,550원
(+7.37%)
폭발적인 성장성 보유 분석 등에 강세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의류 브랜드 업체 중 가장 폭발적인 성장성을보유하고 있다고 분석. 특히, 2020년 2월 런칭한 스노우피크 어패럴은 신흥 아웃도어 업체로 자리매김 중이며, 중장기 출점 확대 여력 및 점포당 효율 상승 감안 시 폭발적인 성장 여력 보유한 상태라고 설명.
▷아울러 3분기 영업적자 대폭 축소 → 4분기 흑전 시현하며 본격적인 이익 회수 구간으로 돌입할 것이며, 2022년 연결 매출액 730억원(+72.2% YoY), 영업이익 72억원(흑전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NHN벅스/인트로메딕/다날 싸이월드제트 로그인 트래픽 폭주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싸이월드제트가 지난 15일 오전 10시42분부터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MVP) 서비스를 시작한 가운데, 로그인 트래픽이 폭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인트로메딕 측은 언론을 통해 지난 15일 로그인 서비스개시와 동시에 트래픽이 폭주해 1시간동안 DB를 3배, 웹서버를 8배 증설했다며, 신속한 증설 후 분당 8만명 이상이 접속하는 등 5시간 만에전성기 월방문객수를 돌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업체로 지난 8월 싸이월드Z와 싸이월드 BGM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한 NHN벅스가 상한가를 기록. 아울러 싸이월드Z의 주요 출자자인 인트로메딕과 싸이월드제트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 한 바 있는 다날도 시장에서 부각.
[종목] : 다날, NHN벅스, 인트로메딕
피플바이오
(304840)
18,100원
(+5.54%)
검진센터 진출에 따른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4분기부터는 KMI 검진센터에출시(지난 10/15 전국 KMI한국의학연구소 검진센터에 알츠하이머병 조기검진 서비스 오픈)가 시작되어 ‘22년부터는 검진센터 확대 영향으로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KMI는 연 검진인원 100만명 이상이며, 서울에 3개소 포함 전국 5개 지역에 총 7개소를 보유하고 있어 내년 검진센터 및 병원과 의원 등 기타 채널에도 확대하여 신규 출시하여 본격적인 테스트 데이터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신의료기술 평가 관련해서도 현재 진행 중이며, 그 결과에 따라 병의원 진입 확대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또한, 유럽 CE 인증을 획득하였기때문에 유럽 파트너쉽 체결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밝힘.
더네이쳐홀딩스
(298540)
31,650원
(+5.32%)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분석 속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연중 최대 성수기를 맞이해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며 주가 반등이 기대된다고 밝힘. 현재 주가는 2022F PER 7.5배 수준이라며 테일러메이드 인수 불발에 따른 과매도가 이어지며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최하단으로 조정되었다고 밝힘. 4분기에 연간 실적의 50% 이상이 발생하는 만큼 최저점 수준의 밸류에이션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
▷3분기 매출액 540억원(전년동기대비 +33.2%), 영업이익 74억원(전년동기대비 +89.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3분기 실적이 기존 예상치를 하회할 전망이나 월별 판매 반등세가 긍정적이라며 7월 매출액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10% 증가에 그쳤으나, 8,9월 오프라인 중심의 판매 확대로 전년동월대비 40% 이상 증가했다고 밝힘.
▷아울러, 2022년 3월 베스트셀러그룹과 중국 JV법인(동사 지분율 51%)을 출범할 예정이라며 중국 진출에 대한 기대감도 부각된다고 밝힘.
휴젤
(145020)
181,200원
(+4.74%)
보툴리눔톡신 제조 춘천 거두공장, 유럽의약품청 현장실사 종료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보툴리눔톡신 제제 '레티보'의 생산을 담당하는 춘천 거두공장의 유럽의약품청(EMA) 현장실사가 성공적으로 종료됐다고 밝힘. 거두공장은 최첨단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연간 500만 바이알 이상의 보툴리눔 톡신 생산이 가능하며, 현재 해외시장에 수출되는 보툴리눔 톡신의 생산을 담당하고있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이번 현장 실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EU GMP 인증도 취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고영
(098460)
19,900원
(+4.19%)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지난 15일 장 마감 후 3분기 실적 발표. 21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18.98억원(전년동기대비 +50.73%), 영업이익 104.02억원(전년동기대비 +194.75%).
에스제이그룹
(306040)
26,700원
(+3.29%)
3분기 비수기에도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1F 매출액 328억원(+34.4% YoY), 영업이익 60억원(+74.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9월 캉골 브랜드 의류 및 가방 매출 급증으로 3Q21 비수기임에도 호실적이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3Q21 영업이익률은 전년대비 4.2%p 증가한 18.2%로 예상하며, LCDC 관련 비용 집행에도 외형 확대 및 비용 효율화로 견조한 이익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한편, 다가오는 4분기 성수기 효과, 2022년 신규 브랜드(팬암, LCDC) 런칭, 캉골 신발 판매 확대 및 키즈 출점 효과 지속, 면세점 회복 초입인 점 감안 시 저평가된 밸류에이션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6,000원[유지]
에스엠/SM C&C 카카오엔터, 에스엠 인수 포기 소식 속 하락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재 진행중인 에스엠의 최대주주 지분 매각 과정에서 유력 후보였던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추가 협상에 나서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짐. 시장에서는 최근 카카오가 많은 영역에 진출하면서 문어발식 확장을 한다는 비판을 의식해인수 의지를 접은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는 모습. 카카오엔터와 에스엠 인수 경쟁을 진행하던 CJ ENM은 에스엠 최대주주인 이수만 총괄프로듀서에게 새 인수 제안을 제출했으며 현재 CJ ENM이 단일 인수 후보가 된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소식에 에스엠, SM C&C 등 에스엠 그룹주가 하락세를 기록.
[종목] : 에스엠, SM C&C
티에스아이
(277880)
16,300원
(-8.68%)
12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에 약세
▷지난 15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삼성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12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4,644원, 전환청구일:2022-10-19 ~ 2026-09-19) 공시.
한화에스비아이스팩
(317320)
3,210원
(-15.19%)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급락
▷지난 15일 장 마감 후 한국거래소는 동사에 대해 기업인수목적회사로서 존립기한만기 6월 전까지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우려가 있다고 밝힘(제출기한:2021-10-22, 관리종목 지정일(예정):2021-10-25). 아울러 관리종목 지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동 사유를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 상장폐지기준에 해당한다고 밝힘.

 

 

반응형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0 특징주  (0) 2021.10.21
10/19 특징주  (0) 2021.10.20
10/15 특징주  (0) 2021.10.15
10/14 특징주  (0) 2021.10.15
10/13 특징주  (0) 2021.10.14